"코로나로 여성·고령층 고용의 질 가장 큰 타격"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06-21 09:42 조회1,67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한은 분석…"전체 고용의 질도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못해"
"비자발적 근로시간 부족 등 때문"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우리나라 고용의 질이 여전히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여성과 고령층 고용의 질이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크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우리나라 고용의 질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1월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고용의 양(취업자 수)은 올해 4월 기준 102.1에 이르지만, 고용의 질(지수)은 99.2로 100을 넘지 못했다.
고용의 질 지수는 계약기간 있는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자영업자, 근로시간 비자발적 36시간 미만, 종사자 5인 미만 등의 조건에 해당하는 일자리를 취약노동자로 분류하고 이들의 비중, 취약 노동자의 취약 정도 등을 반영해 산출한 지표다.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보고서에서 "최근 고용의 질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회복 속도는 고용의 양과 비교해 다소 더디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20년 1월과 비교해 비자발적 요인으로 근로시간이 부족한 노동자의 비중이 여전히 1.0%포인트(p) 높은데다, 취약 노동자 조건 가운데 3가지 이상 겹친 '매우 취약 노동자군'의 비중도 2.5%포인트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전반적으로 대면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근로시간이 줄었고, 여러 조건에서 가장 취약한 일자리 비중은 오히려 커졌다는 뜻이다.
특히 여성과 고령층의 타격이 컸다.
올해 4월 기준 고령층(60세 이상) 여성 노동자 가운데 41.6%가 '다소 취약 노동자', 3.4%가 '매우 취약 노동자'로 분류됐다. 같은 연령대 남성 노동자 내 취약 노동자 비중(다소 취약 29.4%·매우 취약 3.6%)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핵심노동연령층(30∼59세)에서도 여성의 취약 노동자 비중(다소 취약 24.2%·매우 취약 2.7%)이 남성(다소 취약 17.7%·매우 취약 2.0%)보다 컸다. 경력단절 후 재취업 등의 영향으로 40대 이상 여성의 고용 조건이 좋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고령층 남·여 취약 노동자 비중(33.0%·45.0%)이 청년층(15∼29세) 남·여 취약 노동자 비중(24.0%·24.6%)보다 컸다.
송 과장은 "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근로시간 정상화가 어려운 노동자의 이직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 수요자 중심 직업 교육 등 정책 환경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여성 고용의 질 저하 문제에 대해서는 "육아 중인 여성 노동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공유를 확대하고, 재택근무도 제도화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