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등 스마트공장 전문가들 대거 참여 책자 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04-20 09:37 조회2,17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스마트팩토리: 미래 제조 혁신' 펴내...기술과 인프라, 진화 방향 등 담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명준)은 디지털 제조 분야 산학연 전문가 경험과 식견을 모아 스마트팩토리 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한 책자 '스마트팩토리:미래 제조 혁신'을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책은 ETRI를 중심으로 KAIST, 고려대학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K텔레콤, 울랄라랩 등 디지털 제조 분야에서 다양한 전문성을 지닌 산학연 전문가 20명이 참여해 공동 집필했다.
4차산업혁명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서 미래 제조업이 국가의 경쟁력과 지속적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한 이 책은 우리나라가 강점을 지닌 ICT와 제조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팩토리를 기반으로 한 미래 제조 혁신비전과 실천 방향을 제시했다.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됐다. 제1부 '혁신과 전략'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발전 현황과 국내외 정책, 기술개발을 소개했다. 디지털전환이 왜 우리나라 산업 혁신에 중요한지를 논의하고, 스마트팩토리 확산 방향과 이를 위한 표준화를 심도 있게 다뤘다.
제2부 '미래 비전과 진화 방향'에서는 인공지능과 융합한 미래 제조가 변화시킬 산업과, 인간과 로봇이 협업하는 자율공장을 설명했다. 또, RMS(Reconfigurable Manufacturing system, 재구성 가능한 생산 시스템)와 메타버스, 에너지, 유망 서비스 등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본 스마트 팩토리의 비전을 제시했다.
제3부 '기술과 인프라'에서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성하는 기술과 인프라를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스마트팩토리 운영 전 주기에 필요한 인공지능, 5G, 블록체인, 로봇, 디지털 트윈, AR, SW테스트 같은 첨단 기술과 인프라의 미래 비전과 함께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진화 방향을 제시했다. 아울러, 각종 이론뿐 아니라 국내외 현황과 함께 다양한 사례를 풍부히 제시했다.
김명준 ETRI 원장은 "스마트팩토리 미래 비전과 전략을 고민해야 하는 기업은 물론, 정부 정책 담당자에게 이 책의 저자들이 전하는 심층적인 전략과 혜안은 그 무엇보다도 소중하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스마트 팩토리를 중심으로 미래 제조 혁신의 변화와 방향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에게 이 책이 길라잡이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